백두산 천지 전경

[이뉴스투데이 박병윤 기자] 백두산 천지에서 심각한 분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는 가운데 국회에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개최됐다.

15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 존재가 확인된 매우 위험한 활화산으로서, 최근 들어 화산분화 움직임이 잇따라 관측되고 있다.

지난 946년 백두산 꼭대기 천지에서는 이른바 `밀레니엄 대분화`가 일어난 바 있다. 당시 남한 전체를 1m 두께로 덮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분출물을 쏟아 냈다. 이는 과거 1만 년 이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화 사건에 속한다.

문제는 백두산 천지 근방에서 화산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가 관측되고 있다는 점이다.

백두산이 언제, 어떤 규모로 분화할지에 대한 근본적 연구와 더불어 범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된 건 이런 이유에서다.

구체적인 상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질연은 이날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관련 토론회를 가졌다.

심재권·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일부 후원을 받아 포스텍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백두산·화산마그마연구그룹에서 공동 주관이다.

이윤수 포항공대 교수, 부산대 윤성효 교수, 서울대 이현우 교수, 지질연 지강현 박사는 백두산 화산재해에 대한 분야별 연구현황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체계적인 화산 감시망 구축으로 2004년 재분화한 세인트헬렌스 화산을 정확히 예측한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남북공동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 

영국 런던대 J. 해먼드 교수, 김승환 포스텍 교수, 오창환 전북대 교수 등도 연사로 나섰다. 해먼드 교수는 영국·미국·중국·북한 과학자와 함께 진행한 백두산 화산의 지질학적 연구프로젝트 결과를 발표했다. 

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우리 민족 영산인 백두산의 화산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하루빨리 백두산 화산의 남북 협력연구를 활성화해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