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세계 최초 5G 상용화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와 기업들은 그동안 여러 가지 준비를 해왔다. 통신망을 구축하고 장비와 서비스를 개발하는 일도 포함돼 있다. 이렇게 개발한 서비스 중에는 공공 재난안전을 위한 서비스도 포함돼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재난안전에도 큰 영향을 준다.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재난감시를 더 철저하게 하고 빅데이터로 재난을 예방할 수 있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도 스마트 드론이나 바디캠 등으로 상황을 더 정확하게 관제하고 예방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삶에 미칠 여러 영향 중에는 ‘더 안전한 삶’도 포함돼 있었다.

4일 오후 강원도 고성 한 주유소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속초와 강릉·인제·동해까지 번지고 있다. 정부는 이 일대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긴급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5일 오전 기준 1명이 숨지고 10여명이 치료를 받고 있으며 산림 약 250㏊와 주택 125채가 화재로 소실됐다. 산불로 재난사태를 선포한 것은 2005년 양양 산불 이후 처음이다.

통신사들은 이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여러모로 준비해왔다. SK텔레콤은 2017년 11월 강원소방본부에 바디캠과 관제드론, 영상 관제 시스템을 포함한 ‘공공안전 솔루션’을 제공했다. 이 장비는 강원소방본부 특수구조단과 관할 16개 소방서에 배치됐다.

KT의 스카이쉽은 해상 사고시 인명 수색 뿐 아니라 관제, 구조도 가능하다. LG유플러스 역시 스마트 드론 관제시스템을 내놓은 한편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지능형 소화전까지 마련했다.

물론 이들 솔루션은 당시 LTE를 기반으로 한 솔루션이다. 5G 통신망이 상용화 된 후에는 더 고화질 영상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어 실시간 관제가 가능하다.

이 같은 장비들이 이번 산불현장에서 얼마나 활약했는지는 알 수 없다. 전국에서 강원도로 향하는 소방관 모습을 보니 여전히 불은 소방관 목숨으로 끄는 모양이다.

재난안전을 위한 ICT장비 개발이 더 절박해지는 순간이다. 대규모 인명과 재산피해를 막는 것은 물론 소방관 안전도 보장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다.

물론 방화장갑도 없어서 목장갑 끼고 사람 구하는 소방관에게 ICT 장비는 먼 이야기일 수 있다. 화재 등 각종 재난 사고를 예방하고 소방관 안전을 보장하면서 신속하게 사고를 막을 수 있는 5G 장비 개발은 이제 시험무대에 올랐다.

공교롭게도 우리는 지난해 11월 KT아현국사 화재 당시에도 5G 시대의 숙제를 하나 떠안았다. 당시 정부와 통신업계는 5G 상용화라는 축포를 터뜨리는 대신 보안과 통신망 안전이라는 중요한 숙제를 받았다.

그래서 통신업계는 더 빠른 속도와 다채로운 서비스 대신 통신망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를 높였다.

강원도 산불은 정부와 통신·전자업계에 내려진 두 번째 숙제와 같다. 5G 시대를 온전히 즐기기 위해서는 공공안전이 무엇보다 최우선이다. 5G를 즐기는 것은 그 다음에 해야 할 일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