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지혜 기자] 이달초 카카오가 신선식품 배송으로 유명한 ‘마켓컬리’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확인 결과 아직 구체적인 진척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이슈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스토리라는 든든한 배경을 가졌지만 정작 ‘쇼핑하기’ 서비스에서는 사고 싶어도 살 게 별로 없는 현황이다. 이 때문에 카카오는 상품 구색이 아쉬운 점을 이커머스기업 인수합병으로 단숨에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복안이었고 사업성이 높은 분야로 물망에 오른 것이 신선식품이다.

카카오뿐 아니라 신선식품은 온오프라인 유통업계가 모두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자료에 따르면 9월 유통업계 식품 분야 매출이 전년 대비 9.4%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10.6%, 온라인은 21.9% 신장했다.

특히 대형마트 규제로 인해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 연간 전체 매출 증감률이 2015년 -2.1%, 2016년 -1.4%, 2017년 -0.1%로 해마다 역신장하고 있는 가운데도 신선식품은 성장세다보니 더욱 그러하다.

반면에 유통업계 성장 동력이 신선 식품에 있다는 사실은 모종의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인구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대형마트와 온라인 신선식품이 신장하려면 결국 경쟁 상대인 중소상인과 재래시장 파이를 빼앗아 오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2012년부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SSM)를 규제해 대기업이 자금력과 마케팅력 등 우월한 수단으로 빠르게 점유율을 잠식하는 것을 저지했다. 하지만 최근 이커머스 등 또 다른 양상으로 급변하고 있는 유통환경을 감안하면 더 이상 대기업 대형마트 규제 하나만으로 중소상인을 보호하기 어렵게 됐다.

이러한 위기 등장에 기껏 최근 제기되고 있는 해법이 대형마트뿐 아니라 복합쇼핑몰, 이커머스, 대형 식자재마트도 규제하자는 주장이다. 하지만 대형마트가 월 2회 휴무에도 불구하고 신선식품이 실질적으로 신장세인 점, 이커머스를 규제하기 쉽지 않다는 점 등이 현실적 걸림돌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대기업 규제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중소상인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방안에 눈을 돌려야 한다.

사람들이 대형마트나 이커머스에서 신선식품을 찾게 되는 이유는 정기적인 장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대기업이 미디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전략적으로 홍보·마케팅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재래시장이나 중소상인 제품을 맘카페와 페이스북 지역타깃 홍보와 광고를 돕는다면 어떨까. 주요 시장을 거점으로 이를 전담하는 전문요원을 뽑는다면 일자리 창출효과도 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신세계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도 주목할 만하다. 이 매장은 노브랜드 제품과 더불어 시장에서 품목이 겹치지 않는 상품을 취급하며 시장 상권에 개설돼 있다. 노브랜드 상생스토어에 방문한 이들이 시장에서 장을 함께 보도록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식이다.

시대의 거대한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다. 소비자 편의도 희생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도 독과점을 방지하고 다양성이 존재할 때 비로소 소비자 보호가 가능했다. 시대 변화에 부합하는 정부 정책 마련과 실행을 통한 개입이 필요한 이유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