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전자 상무.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지난 20일 향년 73세 일기로 별세한 가운데 아들 구광모 LG전자 상무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지분 상속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LG그룹의 지주사인 ㈜LG의 최대 주주가 그룹 총수에 오르게 되는 LG그룹의 특성상 구본무 회장의 ㈜LG 지분은 아들 구 상무에게 상속된다. 

현재 ㈜LG는 구 회장이 11.28%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있고 구본준 LG그룹 부회장이 7.72%로 2대 주주, 구 상무가 6.24%로 3대 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구 회장의 보유 지분 1946만주를 현재 주가로 계산해보면 약 1조5000억원에 이른다. 

국내법에서는 상속 가치가 50억원이 넘을 경우 최대주주는 최고세율 50%에 최대 주주 주식에 대한 할증까지 더해 최고 65%의 실효세율을 내도록 돼 있다. 이에 따라 아들 구 상무가 상속세로 납부해야 할 금액은 최대 9300억원에 이른다. 

구 상무는 상속개시일(사망일)이 속하는 달 말일부터 6개월 이내 관할 세무서에 상속세를 신고해야 한다. 상속세는 5년에 걸쳐 나눠서 낼 수 있으며 현금 뿐 아니라 자산으로도 납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계에서는 지분의 일부를 상속세로 낼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구 상무의 ㈜LG 지분은 6.24%로 1.5%만 추가 지분을 확보해도 삼촌 구 부회장을 넘어서 최대 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이 경우 1300억원의 상속세를 내도 다른 가족들과 지분을 나눌 수 있다. 다만 경영권 방어를 할 여유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절반을 상속받고 나머지를 상속세로 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구 회장 등 특수관계인 32명이 보유한 ㈜LG 지분은 46.68%로 구 상무가 최대 주주에 오르기만 한다면 추가 지분 확보에는 서두를 이유가 없다. 이에 따라 구 상무가 아버지의 지분을 모두 상속받고 분할 납부할 가능성도 충분한 상황이다.

이밖에 비상장 물류 계열사인 판토스의 지분 7.5%를 팔아 자금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으나 이 경우 판토스의 지분을 모두 매각해도 1500억원에 불과해 상속세 자금으로는 역부족이다.

한편 이재용 부회장의 경우 현재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을 물려받은 상태는 아니지만 장차 아버지의 지분을 물려받을 경우 수조원의 상속세를 납부해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주식 가치는 18조1483억원으로 이 지분을 모두 상속받을 경우 최대 10조원에 가까운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다만 삼성그룹의 경우 순환출자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부회장이 추가 지분 없이도 그룹의 총수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만큼 지분 승계에 매달리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삼성전자의 지배구조는 이 부회장이 삼성물산의 지분 17.08%를 보유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있고 삼성물산은 삼성생명의 지분 19.34%를 보유해 이 회장(20.76%)에 이어 2대 주주로 올라있다. 이어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지분 4.08%를 보유해 최대 주주로 올라있다. 

이에 따라 이 부회장은 이 회장의 지분 중 필요한 최소한만 확보하고 나머지를 상속세로 낼 가능성도 있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일부 지분을 팔아 상속세를 모두 납부하고 경영승계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2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 부회장이 이건희 회장의 사망 뒤 지분을 물려받을 때 일부 지분을 팔아 상속세를 모두 납부하는 투명한 방식으로 경영을 승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WSJ는 그 근거로 이 부회장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과의 합병 과정에서 벌어진 세간의 일들로 비판을 받고 감옥에도 다녀온 만큼 더 이상 논란을 원치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언급했다. 앞서 이 부회장이 재판에서 직접 “지분을 늘리는 방식으로 경영권 승계에 나서기보다 경영자로서 능력을 인정받겠다”고 말한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또 2015년 삼성의 한 고위 임원은 한 방송사와 인터뷰에서 “이재용 부회장 등 자녀들이 상속이나 증여를 받을 경우 내야 하는 세금을 모두 정상납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납부 방식은 분할 납부가 유력한 것으로 언급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