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차세대 수소차 '넥쏘'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친환경 도시'를 표방하는 서울시가 올해 수소차 넥쏘 보조금을 4대(민간 3대, 공공 1대)분만 편성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다. 서울시는 "충전소가 부족한 탓"이라고 해명했지만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보조금 지원 규모를 늘리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일각에서는 인프라 부족에도 지원금을 늘려 수소차 보급을 확대겠다는 행정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23일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는 예약 판매에 돌입한 지 나흘만에 1016대의 계약이 이뤄지며 돌풍을 예고했다. 이는 정부가 당초 계획한 올해 보조금 지급 대수 240대를 4배 넘은 수치다. 지난 19일 시작된 예약 첫날에만 서울 227대, 울산 238대, 광주 156대, 창원 78대, 기타 34대 등 총 733대의 구매 계약이 진행됐다.

서울시에는 300명에 가까운 넥쏘 예약 구매자가 몰렸다. 하지만 수소차 보조금은 단 4명에게 주어진다. 이마저도 일반인은 3명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95대분 보조금을 지원하는 울산이나 광주(66대), 창원(57대)와는 대비되는 숫자다.

현대차 넥쏘는 2013년 양산한 투싼 수소전기차(ix)보다 한 단계 진화한 수소차로, 복합연비는 96.2km/kg(17인치 타이어 기준)다. 1회에 6.33kg의 수소를 충전해 609km를 달릴 수 있다. 특히 넥쏘는 3단계 공기청정 기술이 적용됐다. 차량 1대가 성인 43명이 마실 수 있는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내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린다.

하지만 차량 가격이 고가라는 점이 대중화 걸림돌로 꼽혔다. 넥쏘의 판매가는 모던 6890만원, 프리미엄 7220만원이다. 때문에 정부는 수소차를 구매할 시 보조금 2250만원을 지원한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1000만~1250만원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한다. 이 경우 3390만~3970만원 사이의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7000만원 안팎의 큰 돈을 부담해야 한다.

서울시는 넥쏘 보조금으로 대당 1250만원을 지급한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원액수다. 하지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보조금을 4대에 한해 지원한다. 차량2부제와 대중교통요금 무료정책, 원준하나줄이기 등 친환경 정책을 추진 중인 서울시 기조와는 다소 어긋난 행보다.

서울시 관계자는 "수소차 보급이 많은 타 지역의 경우 부생수소가 발생해 수소차 충전이 용이하다"며 "하지만 서울시는 부생수소가 발생하는 곳이 없고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 이를 고려해 지난해 4대분의 예산만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부생수소는 석유화학산업에서 석유를 정제하고 남은 수소로, 전국에 운영 중인 10기의 수소충전소 중 7기가 부생수소를 활용한다. 개질도 있다. 화석연료에 수증기를 반응시켜 수소를 뽑는 방법이지만, 이산화탄소도 함께 만들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날 기준 서울시에 등록된 수소차는 총 16대(투싼 ix 15대, 수소버스 1대)다. 올해 4대의 수소차가 추가되면 총 20대가 된다. 하지만 서울에는 양재와 상암 단 2곳에서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고, 올해 신규 충전소 설치 계획은 전무한 상태다. 상암 충전소는 압력이 다른 충전소(700bar)의 절반(350bar) 밖에 안 돼 수소를 절반만 채울 수 있다. 양재 충전소는 현대차가 연구용으로 마련한 것이지만, 수소차 보급에 맞춰 최근 민간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용도를 변경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대중교통 무료 운영으로 혈세를 낭비하지 않았다면, 최소 5기의 수소충전소를 건설할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서울시는 지난 1월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를 발령하고 세 차례에 걸쳐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영했다. 하루 대중교통 무료 이용에 따른 손실액은 50억원 가량으로 추산되는 만큼, 약 1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셈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서울시를 향한 비난의 화살이 거세졌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중국발 오염물질이 국내로 유입돼 초미세먼지 농도를 '나쁨(51-100μg/m³)'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미세먼지 주요 원인을 도심 차량 등을 꼽으며 차량2부제와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펼쳐 온 서울시가 혈세를 낭비한 것과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충전소 신규 설치 비용으로 20~30억원 가량이 투입된다. 3일 동안 투입된 150억원의 예산으로 5~7기의 수소충전소를 지을 수 있다.

수소차 보조금 규모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잇따르자 서울시는 보조금 확대를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 4대분 보조금만 신청했다는 서울시의 당초 해명과는 괴리가 있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시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관련 정책이나 인프라는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하고 있다"며 "당장 충전소 건설 계획도 없는 상황에서 보조금만 추가 지급하겠다는 것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발상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