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사드 보복에 시달리지만 기간 산업용품을 수출하는 두산인프라코어의 약진이 눈길을 끌며 명분 없는 중국 정부의 조치가 논란이 되고 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반한 감정을 앞세운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면서 버티지 못하고 공장을 철수하거나 철수를 결정하는 기업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으나, 도로 공사 등 국내 기간 산업에 필요한 품목에 대해선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성주골프장이 사드 배치 장소로 결정되면서 중국의 집중적인 보복 대상이 된 롯데마트는 중국 내 전체 매장 철수 작업에 나섰으며, 이마트는 이미 중국 사업 철수를 결정하고 연내 철수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올해 상반기부터 한류 금지령과 한국 기업에 대한 불이익 조치를 내린 것에 따른 것으로 현지 경쟁 업체는 물론 합작 회사를 꾸린 협력 업체들도 일조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업계에서는 중국측은 현대·기아차 등 한국산 자동차 구매를 취소하고 중국산 차량을 구매할 경우 할인 혜택과 사은품을 제공하는 이른바 '사드 마케팅' 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극심한 판매 부진에 시달리던 현대자동차 중국 법인의 공장 5곳 중 4곳의 부품업체의 납품 중단으로 가동이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공장 철수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으나 상반기 순익이 34%나 급감하는 타격을 입었다.  

이 뿐만 아니라 SK 이노베이션의 베터리 공장도 지난 3월 60%의 지분을 가진 중국 합작법인들의 일방적 생산 중단 결정으로 연 500억원 상당의 판로를 상실한 바 있다.

이 같은 중국의 사드 보복과 보호무역 조치가 계속 될 경우 한국 경제가 8조5000억원 상당의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5월 발표한 '한·중 상호 간 경제 손실 점검과 대응 방안'에 따르면 한국은 사드로 인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0.52% 정도의 피해가 예상됐지만 중국은 0.01%에 불과해 피해가 미미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의 경우 관광에서만 7조1000억 원의 손해를 볼 것이란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의 건설 붐에 맞춰 매출과 시장점유율을 동시에 늘려가고 있다.

해외 건설업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의 대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한 6095대를 기록했으며 중국 시장 점유율 역시 지난해 7.4%에서 올해 8.6% 늘었다. 

이 같은 차이는 '금한령' 등의 제제 조치를 받고 있는 유통·자동차 업체들과는 달리 최근 중국 내 건설 경기가 살아나면서 기반 사업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코트라 한 관계자는 "중국 내 서부지역 고속도로가 착공을 시작했고 북부지역에서는 석탄 채굴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연 16만9000대를 판매한 중국 굴삭기 시장의 전성기인 2011년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올해를 기점으로 점차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내구성이 좋은 데다 주요 부품의 경우 보증기간도 3년이 되기 때문에 현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며 ”가격 경쟁력도 갖춰 중고제품도 잘 팔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성장 추이에 따라 두산인프라코어는 올해 중국 시장 전망을 9만5000대에서 11만 대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2010~2011년에 판매된 32만 대가 2018년부터 교체 주기에 진입해 중국 굴삭기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송덕진 극동미래연구소 소장은 "중국 정부가 주민과 협력사들에 반한감정을 선동하면서도 기간산업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그러한 조치가 없다“며 "이러한 사실이 중국의 사드 보복이 명분이 없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